포이즌 필(poison pill)이란?
포이즌 필은 기업의 인수합병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전략적 방어수단의 하나입니다. 대체로 상장 기업의 경영진이나 이사회가 사용하며, 적대적인 이수자가 기업을 인수하려 할 때 그 인수를 어렵게 만드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주주 권리 계획의 별칭으로 불리며, 주주들의 동의를 얻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을 인수 합병 하려 하거나, 그 외에도 경영권을 침해당할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기존 주주들에게 시가보다 싼 가격에 지분을 매입할 수 있도록 미리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포인즌 필의 유래
1980년 인수합병이 활발해지던 시기에 뉴욕 소재 법률회사 Wachtell, Lipton, Rosen, and Datz가 고안한 전술입니다. poison pill은 영어로 독약이라는 뜻으로, 과거 스파이들이 적들에게 붙잡혔을 때 심문을 피하기 위해 지니고 다녔던 독약으로부터 유래된 말입니다. 즉, 해당 기업을 인수하려는 회사나 개인을 불리하게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포이즌 필의 특징
- 주식 발행
포이즌 필의 가장 흔한 형태는 이사회의 승인 없이 추가적인 주식을 발행하는 것입니다. 이는 인수자가 기업을 인수하려고 할 때 기존 주주들에게 주식을 발행하여 인수자가 비용을 더 많이 지불하도록 만듭니다.
- 이중 구조
포이즌 필은 대체로 이중 구조를 가지고 있어, 특정 조건이 충족될 경우 자동으로 발동되도록 설계됩니다. 이는 인수자가 협상 없이 인수를 시도할 경우 인수비용을 증가시키거나 기타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 기타 조치
포이즌 필은 단순히 주식 발행 외에도 기업이 인수를 피하도록 하는 다양한 조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수자가 일정 지분을 초과할 경우 특정 권리를 박탈하거나 기업의 핵심 자산을 매각하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
포이즌 필의 사례 _기업의 경영권 방어를 보완하는 제도 도입 필요
2024년 6월 27일자 서울신문에 올라온 기사에 따르면, 정부가 한국 증시 저평가의 해법 중 하나로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을 추진하자 기업들은 포이즌필과 같은 기업 경영권 방어를 보완하는 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권재열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경영 판단의 원칙 명문화, 회사의 이사 책임 보상계약 제도 도입을 제안하였다. 이 외에도 김지평 기앤장법률사무소 변호사는 기업 경영권 방어 대안으로 포이즌필 도입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의견들이 오가는 중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올해 하반기 정기국회에서 상속세 완화와 관련된 의견을 피력하겠다고 밝혔다.
재계 “경영권 방어 필요”… 이복현 “국회에 상속세 개선 의견 낼 것” | 서울신문 (seoul.co.kr)
재계 “경영권 방어 필요”… 이복현 “국회에 상속세 개선 의견 낼 것”
기업들 상법 개정 방침 반대 의사 포이즌필·이사책임보상제 제안 상속공제 확대·증여세 완화 강조 李 “과도한 규제·세 부담 등 개선”,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
www.seoul.co.kr
'경린이를 위한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블랙 먼데이(Black Monday)란? (5) | 2024.07.01 |
---|---|
[경제용어] 쌍둥이적자(Twin Deficits)란? (1) | 2024.06.30 |
[경제용어] 갈라파고스화(Galapagos Syndrome)란? (2) | 2024.06.27 |
[경제용어] 가변예치의무제도(variable deposit requirement)란? (1) | 2024.06.27 |
[경제용어]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 (1) | 2024.06.25 |